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레드스톤(RED) 코인 시세 및 최신 호재와 전망 정리

by 코리(Cori) 2025. 4. 25.

 

안녕하세요. 가상자산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는 최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드스톤 코인 시세 및 최신 호재와 전망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레드스톤 코인 시세 분석

빗썸 RED 일봉 차트

 

2025년 4월 25일 기준으로 빗썸 거래소에서의 뉴메레르 코인 시세는 전일대비 +7.27% 상승하여 총 605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RED의 시가총액은 약 1,699억 원의 규모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315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레드스톤 코인

 

레드스톤(RedStone)은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서 신뢰할 수 있는 오라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오라클 프로젝트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오라클과는 다른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데이터 전달 방식이나 수수료 측면, 확장성 측면에서 혁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Arweave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을 채택하여 영구적이고 저렴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RedStone의 핵심 특징 및 기술적 특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기존의 체인링크 같은 오라클은 블록체인 상에서 직접 데이터를 푸시하는 방식을 적용했다면, 레드스톤은 데이터를 오프체인에 저장하고 사용 시점에 블록체인에 포함하는 pull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수료를 절감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소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크게 세 가지 모듈로 나뉘는데요!

 

1) Data Provider : 데이터 수집자로 다양한 API나 거래소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2) Cache Layer :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계층으로, 장기적인 스토리지를 보장합니다.

3) Consumer Layer : 스마트 컨트랙트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해당 데이터를 검증 후 가져와서 활용합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개발자들은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맞춤 구성하고 다양한 체인에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레드스톤은 Atweave의 영구 저장 기능을 활용해 오라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데요.

 

Arweave는 데이터를 단 한 번의 비용으로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분산형 스토리지로, 오라클 데이터의 변조 불가능성과 투명성을 높이며 데이터를 감사하거나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기존 오라클은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면서 가스비가 많이 들 수밖에 없었지만, 레드스톤은 데이터를 오프체인에서 처리하고 필요한 시점에만 온체인에 반영하기 때문에 가스비가 현저히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edStone 네트워크에서 RED 토큰은 데이터 제공자들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유인을 만들고, 동시에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면 패널티를 받도록 설계되어 있는데요!

 

이러한 구조 덕분에 사용자들에게 높은 보안성과 신뢰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레드스톤은 다양한 Layer1 및 Layer2 블록체인들과 통합되고 있으며 특히, Web3 데이터 분석 기업들과 협업하며 다양한 데이터 제공 및 활용 사례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레드스톤 코인 전망

출처 beincrypto

 

2025년 3월, RED는 바이낸스 상장을 앞두고 에어드랍 물량을 약속된 9.5%에서 5%로 축소해 커뮤니티의 큰 반발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RSG 포인트를 모은 사용자들 대부분이 보상을 받지 못해 논란이 가중되었는데요!

 

이에 바이낸스는 사용자 보호와 공정성을 이유로 상장 예정 몇 시간 전에 상장을 전격 보류했으며, 이후 레드스톤 측은 커뮤니티 피드백을 반영해 에코시스템 풀에서 추가 2%를 에어드랍으로 재할당하고 남은 4.5%는 6개월 뒤 파트너 사용자에게 분배하기로 조정하였습니다.

 

바이낸스는 이러한 대응을 수용하여 같은 날 오후 RED 토큰 상장을 재개하였으며, 상장 후 가격이 일시적으로 반등했지만, 에어드랍 대상 중 단 2.19%만 보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신뢰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커뮤니티의 실망감이 큰 만큼, 향후 RED는 투명한 커뮤니케이션과 보상 체계 개선이 필요해 보이며,

 

투자자들은 시세 흐름을 충분히 분석하여 항상 신중하고 현명한 결정 내리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