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상자산 투자 정보를 전해드리는 최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라스트 코인 시세 및 최신 호재와 전망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블라스트 코인 시세 분석
2025년 4월 11일 기준으로 빗썸 거래소에서의 블라스트 코인 시세는 전일대비 +4.50% 상승하여 총 4.2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BLAST의 시가총액은 약 1,137억 원의 규모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353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블라스트 코인이란?
블라스트(BLAST)는 이더리움 기반의 제로 롤업 기술을 활용한 레이어 2 확장성 솔루션입니다.
이는 자동 이자 지급이라는 혁신적인 개념을 도입한 최초의 이더리움 L2 네트워크로, 사용자는 블라스트 네트워크에 자산을 예치하거나 사용하기만 해도 별도의 DeFi 프로토콜에 참여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하는 웹3 경험을 제공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메인 체인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처리 속도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zk-rollup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고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있답니다!
블라스트의 가장 큰 차별점으로는 Auto-Yield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자산을 단순히 보관하고 있거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것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하도록 서례되어 사용자가 DeFi를 몰라도 손쉽게 수익을 경험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사용자가 ETH (이더리움)을 예치하면 Lido 같은 이자 발생 프로토콜에 예치하여 stETH 수익을 획득합니다.
또한 블라스트가 제공하는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USDB는 국채 수익 기반 모델을 통해 자동 이자가 발생하며 해당 수익은 매일 사용자 계정에 자동 반영되고 있죠.
USDB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미국 국채 수익률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연간 약 4~5% 수준의 이자 수익률이 발생하며 실제 수익은 USDB의 백업 자산으로 구성된 트레저리로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Blast는 얼리 어답터를 위한 보상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데요! 크게 두 가지의 보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첫 째, Blast Points는 예치 자산에 따라 지급되며 향후 토큰 에어드롭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둘 째, Blast Golds는 앱 개발자에게 지급되며 해당 앱 사용자들에게 다시 분배되고 개발자 유인을 통해 블라스트 생태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의 보상을 운영하고자 블라스트는 다양한 dApp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NFT 플랫폼, 탈중앙화 옵션 플랫폼, 블라스트 대출 플랫폼들의 제공을 통해 Blast Gold를 배포하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블라스트 코인 전망
2025년 2월 3일, 블라스트는 모바일 운영체제인 Blast Mobile과 자체 디앱인 Blast Earn을 출시했습니다.
Blast Mobile은 스마트월렛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최신 스마트폰의 패스키 기능을 통해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할 수 있으며, 블라스트 모바일 출시 한 달 만에 총 예치금액이 5,500만 달러를 딜성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Blast Earn은 사용자가 $USDB를 비롯한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면 $BLAST 토큰을 이자로 받을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자는 모바일 클릭 몇 번만으로도 수익 창출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공식 출시를 통해 향후 토큰 가격 안정성 및 시세 상승 가능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L2 시장 내 경쟁력 강화와 함께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생태계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암호화폐 특성상 단기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극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시세 흐름을 충분히 분석하여 항상 신중한 투자 결정 내리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